2025. 1. 2. 22:01ㆍ일상 이야기
아내와 처제랑 같이 새해 일출을 보기로 했다.
새해 소원도 빌고, 뭔가 새롭게 시작하는 한 해를 맞이해 보자고 갔다.
목적지는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추암해수욕장'이다.
거기는 '촛대바위'라는 게 유명하다고 했다. 애국가 영상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바위라고도 유명하다.
촛대바위와 함께 찍는 일출사진을 건져볼까 하고 떠났다.
그리고 아침 9시부터 일찍이 출발했고, 차로 약 3시간을 이동했다.
차가 안 막히게 출근시간을 피해 가자 싶어서 9시 이후에 출발했다.
그리고 새해 일출 보러 가는 사람들이 많아서 차가 막힐까 봐 오전 시간대로 잡았는데
다행히 네비에서는 모든 차선이 '초록색'이었다.
한순간도 막히지 않고 쭉 달려갔다.
그리고 가장 먼저 도착한 곳은 '강릉 빵다방'이다.
영동고속도로를 타고 강릉을 거쳐 남쪽인 삼척으로 가는 것이기 때문에
강릉에서 간식도 먹고 식사도 하기로 했다.
전에도 한번 들렸는데 가게가 이미 닫았었다.
여기는 재료가 다되면 닫는다.
한 20분 정도 기다리다 매장에 들어갈 수 있었다.
매장이 작기 때문에 사람이 북적이지 않게 인원을 통제한다.
가장 예뻐지기 위해 왔다.
빵을 계속 먹게되서 내내 예쁠까 싶게 빵이 다 맛있어 보인다.
빵이 저거 외에도 정말 많은데
가장 메인은 바로 이 크림빵이다. 특히 인절미 크림빵으로 유명해진 빵집이다.
인절미 크림빵은 카운터에 진열되어 있다.
저 크림도 맛있지만 같이 얇게 들어간 팥이 잘 어우러져 정말 맛있다.
빵덕들에겐 순례지가 아닐까 싶다.
빵을 가득 사서 담고
식사는 '짬뽕순두부'를 먹으러 갔다. 그와 함께 '순두부젤라토'를 먹을 계획이었다.
원래 생각해 놨던 매장은 '동화가든 본점'이었는데
웨이팅 등록하려고 보니 앞에 194팀이 있었다.
그때 시간이 아마 12시였는데.. 우리보다 앞서 온 팀은 앞에 193팀이 있는 걸 알면서도
등록을 하더라. 우리는 차마 기다릴 수 없었고
다른 순두부 짬뽕집을 전전하다가 결국 '김우정 초당 짬뽕 순두부' 집에 정착했다.
여기도 리뷰가 많았고 동시간대에 손님들도 꽤 있어서 선택했다.
더 둘러본 다른 2곳은 매장 안에 손님이 없는데 웨이팅은 길어서 회전율이 없는 것 같았고,
다른 매장은 동시간대에 손님이 없어서 맛없는 집인가 싶었다.
주문한 모두부 반모가 먼저 나왔다.
고소하고 맛있었다.
한모 시켰으면 남길뻔했다.
11번이 해물순두부짬뽕이고, 12번이 순두부짬뽕이다.
그냥 봐서는 구분이 안되는데 국물 맛이 확연히 다르고, 해물에는 전복이 좀 더 들어가 있었다.
둘 다 맛있었고, 처음엔 모르는데 먹다 보면 속이 화끈해지면서 불똥 싸지 않을까 우려됐다.
그래서 열심히 모두부를 같이 먹음으로써 속을 중화시켰다.
맵찔이라면 순두부백반을 주문하고 일행의 짬뽕을 맛보는 걸로 만족하는 게 어떨까 한다.
여기는 '순두부젤라토 4호점'이다.
삼척해수욕장에 있고, 바다뷰다. 아까 순두부짬뽕을 먹은 거리에 본점이 있는데
밥을 먹고 나오니까 줄이 길어서 여기로 이동했다.
이곳은 줄은 없었고, 매장이 컸으며, 젤라토 외에도 간식으로 먹을 디저트가 있었다.
던킨도넛 매장 같은 진열대에 먹음직스러운 디저트들이..
이걸 사고 나서 알았다.
우리가 빵다방에서 빵을 샀었다는 걸.
순두부젤라토 4호점에 와서 순두부맛은 하나도 사지 않고
티라미수, 흑임자, 제주녹차 젤라토를 주문했다.
사서 먹지 않을 수 없는 비주얼이었다.
2024년의 마지막 크리스마스트리일 것 같아서 찍었다.
이제 밖으로 나왔다.
추암해수욕장에 어디로 가야 해가 잘 보일지 사전답사를 위해가 봤다.
원래 오리가 바닷가에 살던가 싶다.
이 물은 바닷물이 아니긴 했지만 해수욕장 근처였는데 일반적인 물이 아닐 것 같은데
잘만 두둥실 떠다닌다.
그리고 오리들이 있던 근처 모래사장에는 오리발 발자국이 많았는데
더 돌아다녀보니 추암해수욕장, 증산해수욕장엔 오리발 발자국이 엄청 많았다.
모래사장을 누비나 보다.
이런 오리발자국이 모래사장 곳곳에 있다.
이것이 바로 촛대바위다.
촛대바위와 떠오르는 새 해를 같이 찍으려면 여기서는 못 찍겠지만
어쨌든 촛대 바위 구경온 기념으로 찍었다.
숙소로 돌아가 저녁으로 부대찌개를 먹고 맥주 한 캔 마시고
소화시킬 겸 산책을 나갔다 와서 일찍 잠들었다.
새 해를 맞이하려고 한 해를 보내는 일은 하지 않았다.
내가 온갖 호들갑을 떨면서
와이프와 처제를 중무장시켰다.
각자 핫팩도 3개씩 주면서 배, 가슴, 목덜미에 하나씩 두라 하고
양말 발가락 아래에 붙이는 핫팩을 붙여서 발도 따듯하게 했다.
와이프는 오히려 좀 더웠다고 했다.
이날 기온은 0도 또는 영하 1도였고 체감 영하 5도였는데
밖에 30~40분 정도만 있어서인지 있을만했다.
새해를 보겠다고 정말 많은 사람들이 와 있었다.
이쪽 방면이 추암해수욕장이다. 저 쪽 끝이 가장 잘 보일 것 같았지만
내가 나와서 봤을 땐 이미 사람이 많아서 오히려 안 보일 것 같았다.
어쨌든 추암해수욕장과 증산해수욕장 중간 어디에 자리를 잡고 새해를 기다렸다.
잘 보면 저 주황빛이 유난히 더 진한 곳이 있는데 거기서 해가 떠올랐다.
다행히 이날 하늘이 맑아서 떠오르는 해를 볼 수 있었다.
사람들이 많이 왔나 하고
해가 빼꼼하게 얼굴을 비추었다.
문득 유튜브에서 화이트밸런스를 '흐림'으로 설정하면 주황빛이 강조된다 해서 변경해 봤다.
더 극적인 주황빛이 예뻐 보인다.
완전히 떠오른 후 모습이다.
일찍 나왔으면 타임슬랩으로 10분간 촬영하려고 했는데
이미 사람들이 진을 치고 있어 그 사이를 뚫지 못했다.
내년에 또 온다면 그땐 미리 가서 준비를 해야겠다.
이날 새 해를 보고 숙소에 돌아와 짐을 챙기고 곧바로 집으로 향했다.
차가 몰리기 전에 어서 가자는 판단이었다.
그런데 정말 좋은 판단이었던 것 같다.
이날 아마 8시쯤 출발했고, 휴게소 1번, 졸음쉼터 2번 들리면서 3시간 만에 수원에 도착했다.
수원 로마경양식에 가서 돈가스를 먹고 집에 갔더니 오후 2시.
2일 날 출근해서 새해 얘기를 했더니
다른 직원은 '강릉'에서 오후 1시에 출발했는데 오후 8시에 도착했다고 한다.
무려 7시간을...
혹시나 새해 일출을 보려면 서둘러 움직이길 강력히 권한다!
'일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양 여행 (37) | 2025.03.06 |
---|---|
(오블완) 내가 글을 쓰는 이유? '나'를 표현하기 위해서 (65) | 2024.11.27 |
일월수목원과 비슷하게 생겼던 영흥수목원 (58) | 2024.11.25 |
크레페허브 팝업스토어 Crepehub POP-UP STORE in SUWON 에서 처음 먹어본 말차크레페!! (6) | 2024.11.24 |
손이 참 빠른 필름 현상소, 수원칼라현상소 (5)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