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Capitalism 쉬지 않고 일하는데 나는 왜 이렇게 살기 힘든가

2025. 2. 9. 22:41Yeon's 서재

 
자본주의
『자본주의』는 자본주의를 쉽게 풀어낸 방송,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5부작’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지갑 속 돈과 통장, 매달 갚아야 할 대출금과 이자, 살고 있는 집의 가격 등 이 모든 것이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자유롭지 못한 오늘날, 세계 최고의 석학들을 만나 돈에 관한 진실과 자본주의의 비밀을 밝혀낸다. 그리고 무의식중에 우리를 나락으로 빠뜨리는 자본주의의 유혹과 위협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지도 알려준다. 이 책에서 독자들은 자신이
저자
EBS 자본주의 제작팀
출판
가나출판사
출판일
2013.09.27

 

 

 

읽은기간: 25. 1. 29. ~ 2. 6.

한줄리뷰: 자본주의 기초 강의 입문서

 

22년도에 한참 경제지식을 쌓고자 책을 읽기 시작했었다.

그러던 중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를 YOUTUBE로 찾아보라는 말을 듣고

5부작 영상을 꿈뻑꿈뻑 졸아가면서 봤었다.

사실 엄청 와닿는 내용은 없었다. 추천을 받아서 보긴하는데

뭐가 중요한지 모르니까 귀에도 안들리고 눈은 졸리고 거의 수면제였다.

 

하지만 왠지 이 내용은 알아놔야하지 않을까 하고

재생목록에 남겨둔채 잊혀졌었다.

그러던 중 24년 12월인가 생일 기념으로 받은 상품권을 사용하려고

서점에 들렀다가 이 책을 발견했고, 재생목록에 남겨져 있단게 기억이나면서

구매하게 되었다.

 

책을 읽어보니 영상의 내용을 글로 잘 풀어주었고

생각보다 쉽게 읽혔다.

 

첫번째 장에서 자본주의를 아주 쉽게 설명해주었고,

이게 가장 인상 깊었으며, 다시 반복해서 봐야겠단 생각이 들었다.

2장과 3장은 가끔 유투브 쇼츠나 인스타 릴스 등을 통해 한번씩 봤을 내용이었다.

그리고 4장과 5장은 조금 깊은 내용이었다. 앞으로의 자본주의를 어떻게 이끌어가는게 좋을까? 하는 고민이니까.

그래서 경제 공부를 시작하려는 사람에게 '입문'으로 아주 적합한 책 같다.

 

[독서노트]

 

프롤로그 길 잃은 자본주의,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PART 1 '빚'이 있어야 돌아가는 사회, 자본주의의 비밀

1. 물가는 절대 내려가지 않는다

2. 은행은 있지도 않은 돈을 만들어낸다

3.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예금을 찾지는 않는다

4. 중앙은행은 끊임없이 돈을 찍어낼 수밖에 없다

5. 인플레이션의 거품이 꺼지면 금융위기가 온다

6. 내가 대출이자를 갚으면 누군가는 파산한다

7. 은행은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도 대출해 준다

8. 달러를 찍어내는 FRB는 민간은행이다

 

PART 2 위기의 시대에 꼭 알아야 할 금융상품의 비밀

1. 재테크 열기는 우리를 위한 것이 아니었다

2. 은행이란 수익을 내야 하는 기업일 뿐이다

3. 8%의 이자를 주는 후순위채권의 비밀

4. 은행은 판매수수료가 많은 펀드를 권한다

5. 보험, 묻지도 따지지도 않다가 큰코다친다

6. 파생상품은 투자를 가장한 도박과 같다

7. 저축만으로는 행복해질 수 없다

8. 금융지능이 있어야 살아남는다

 

PART 3 나도 모르게 지갑이 털리는 소비 마케팅의 비밀

1. 어릴 때부터 우리는 유혹당한다

2. 쇼핑할 때 여자는 훨씬 감정적이다

3. 보안용 CCTV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

4. '사고 싶다'고 느끼면 '필요한' 것 같다

5. 소비는 불안에서 시작된다

6. 필요하지 않아도 친구가 사면 나도 산다

7. 과소비는 상처받은 마음이다

8. 자존감이 낮으면 더 많은 돈을 쓴다

 

PART 4 위기의 자본주의를 구할 아이디어는 있는가

1. 금융위기는 반복해서 일어난다

2. 노동만이 최상의 가치다_아담 스미스의 '국부론'

3. 쉬지 않고 일해도 왜 가난한가_칼 마르크스의 '자본론'

4. 실업률을 낮출 정부의 개입을 권하다_케인스의 거시경제학

5. 정부가 커지면 비용도 늘어난다_하이에크의 신자유주의

 

PART 5 복지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한다

1. 국민소득이 오르면 내 소득도 오른다?

2. '복지=분배'는 오해다

3. 복지는 창의성의 원천이다

4. 시장도 정보도 아닌 국민이 주인이다